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시총 순위와 코스닥, 어떤 종목이 눈에 띄나?

by person-information 2023. 6. 30.
반응형

여러분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를 알고 계십니까? 시가총액이란 주식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식의 발행수와 주가를 곱한 값입니다. 시가총액이 크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종목은 어떤 것일까요? 그리고 그 종목들의 주요 사업 분야와 전망은 어떨까요? 또한 주식 투자를 고려한다면 어떤 종목을 선택해야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코스피 시가총액 1위는 당연히 삼성전자

1.1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얼마나 될까?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당연히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는 2021년 12월 기준으로 468조 원의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 시가총액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기기 제조업체로, 모니터, VCR, 텔레비전, 휴대폰, 냉장고, 에어컨, 홈네트워킹제품, CCTV,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LCD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1.2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 분야와 전망은?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 분야는 4개로 나뉘어 있습니다. DX부문, DS부문, CE부문, MX부문입니다. DX부문은 VD사업부, 생활가전사업부, 의료기기사업부, 네트워크사업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VD사업부는 TV와 모니터를 생산하며, QLED TV와 MICRO LED TV 등의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활가전사업부는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생산하며, 비스포크 제품과 제트 봇 AI 등의 맞춤형 가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사업부는 초음파 진단장치와 X-선 장치 등을 생산하며,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의료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사업부는 5G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을 제공하며, 6G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DS부문은 메모리 사업부와 기타 반도체 사업부로 나뉘며 메모리 사업 분야에서 시장 주도권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사업부는 DRAM과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며, 고성능과 고효율의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타 반도체 사업부는 시스템 LSI와 파운드리를 담당하며, 스마트폰용 이미지센서와 모바일 프로세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CE부문은 영상 디스플레이 사업부와 디지털 가전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판 TV와 모니터, 비스포크 제품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영상 디스플레이 사업부는 LCD 패널과 OLED 패널을 생산하며, 8K 해상도와 HDR10+ 기술을 적용한 TV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가전 사업부는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생산하며, 비스포크 제품과 제트 봇 AI 등의 맞춤형 가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MX부문은 모바일 사업부와 하버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PC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사업부는 갤럭시 브랜드의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생산하며, 폴더블 스마트폰과 5G 스마트폰 등의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버 사업부는 웨어러블과 PC를 담당하며, 갤럭시 워치와 갤럭시 버즈, 갤럭시 북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 2021년 3분기에는 영업이익이 15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 Z 폴드 4와 갤럭시 Z 플립4의 출시로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갤럭시 Z 폴드4와 갤럭시 Z 플립 4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기준을 세우는 제품으로, IPX8 방수와 Corning ® Gorilla ® Glass Victus ® +, 플렉스캠, 나이토그래피 등의 혁신적인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반도체와 스마트폰, 가전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1.3 삼성전자 주식 투자 여부는?

삼성전자 주식은 코스피 시가총액 1위이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매년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약 3%입니다. 삼성전자 주식은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주식에 투자하기 전에는 개인의 자산 상태, 투자 목적,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시장 상황과 기업의 실적 변화에 따라 주가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2. 코스닥 시가총액 1위는 셀트리온

2.1 셀트리온의 시가총액은 얼마나 될까?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셀트리온입니다. 셀트리온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48조 원의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닥 시가총액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 의약품 개발 및 제조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유럽에서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상용화한 기업입니다.

2.2 셀트리온의 주요 사업 분야와 전망은?

셀트리온의 주요 사업 분야는 바이오시밀러, 신약, 코로나19 치료제 등입니다. 바이오시밀러는 기존에 개발된 바이오 의약품과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을 가진 의약품으로, 셀트리온은 류마티스 관절염, 암, 크론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신약은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바이오 의약품으로, 셀트리온은 암 면역치료제, 항체-항생제 융복합 치료제, 항체-항체 융복합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셀트리온은 항체 치료제인 렉키로나와 항체-항체 융복합 치료제인 CT-P59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2021년 3분기에는 매출액이 4조 1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5% 증가했습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코로나19 치료제의 글로벌 공급이 확대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또한 신약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암 면역치료제인 CT-P10과 CT-P16은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앞으로도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3 셀트리온 주식 투자 여부는?

셀트리온 주식은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이면서도 높은 성장성과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셀트리온은 매년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약 0.5%입니다. 셀트리온 주식은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셀트리온 주식에 투자하기 전에는 개인의 자산 상태, 투자 목적,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시장 상황과 기업의 실적 변화에 따라 주가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2.4 코스피 시가총액 2위와 3위는?

코스피 시가총액 2위는 SK하이닉스 [000660]입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메모리 제조 전문 기업으로, DRAM과 NAND 플래시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76조 원입니다. SK하이닉스의 전망은 반도체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DRAM은 서버, PC,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SK하이닉스는 세계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도 반도체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메모리인 D램과 Z램 등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3위는 LG화학 [051910]입니다. LG화학은 화학, 에너지, 생명과학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종합화학 기업입니다. LG화학의 시가총액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73조 원입니다. LG화학의 전망은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의 성장과 화학 소재 사업의 회복으로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배터리 사업은 세계 최대 규모로, 테슬라, 폭스바겐, GM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은 앞으로도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개선하고, 친환경 에너지 소재와 바이오 소재 등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5 코스닥 시가총액 2위와 3위는?

코스닥 시가총액 2위는 에코프로 [086520]입니다. 에코프로는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 제조 전문 기업으로, NCM (니켈-코발트-망간) 및 NCA (니켈-코발트-알루미늄) 카소드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의 시가총액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18조 원입니다. 에코프로의 전망은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배터리 소재 수요의 증가로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에코프로는 LG화학, 삼성 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외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 거래하고 있으며, 고효율과 고안전성을 갖춘 카소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는 앞으로도 배터리 소재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스닥 시가총액 3위는 펄어비스 [263750]입니다. 펄어비스는 온라인 게임 개발 및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검은 사막, '도깨비', '크루세이더 퀘스트' 등의 인기 게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펄어비스의 시가총액은 2021년 12월 기준으로 13조 원입니다. 펄어비스의 전망은 글로벌 게임 시장의 성장과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에 대응하는 게임 개발로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펄어비스는 PC, 모바일, 콘솔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서비스하는 MMORPG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검은사막'으로 세계적인 인지도와 수익성을 확보했습니다. 펄어비스는 앞으로도 신작 게임과 IP (지적 재산권) 활용 사업을 통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1위는 삼성전자이며, 코스닥 시가총액 1위는 셀트리온헬스케어입니다. 또한 각 종목의 주요 사업 분야와 전망, 그리고 주식 투자 여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2위와 3위에 해당하는 종목들도 간단히 소개해드렸습니다. 이 포스팅이 여러분들의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4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