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교사 월급이 얼마나 오를까? 교원 봉급표와 수당을 알아보자!

by person-information 2023. 6.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3년 교사 월급이 얼마나 오를지, 교원 봉급표와 수당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교사라면 누구나 관심이 있을 만한 주제이지요. 저도 교사를 준비하는 사람으로서 궁금한 부분이 많았는데요.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2023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이 전년 대비 1.7%로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교원 봉급표도 개정되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2023년 교사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요? 교사의 월급은 호봉표에 따라 산정되는 기본급에 각종 수당이 더해진 금액입니다. 각종 수당에는 월 정액 급식비, 특수업무수당 중 교직수당, 담임을 맡는 경우의 교직수당 가산금, 보직을 맡은 경우의 교직수당 가산금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교원 봉급표와 수당을 알아보고, 교사의 월급 및 실수령액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또한 교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도 간단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교사 정년퇴직 나이는 62세? 기간제 교사는 65세? 교사의 정년퇴직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교사의 정년퇴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교사라는 직업은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직업 중 하나이지만, 그만큼 힘들고 힘든 일도 많습니다. 그래서 교사들은

person-information.tistory.com

1. 2023년 교원 봉급 인상률과 호봉표 개정

1.1.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사 등의 봉급표

2023년 교원 봉급표에 따르면, 교원의 경우 40호봉까지 있으며, 1호봉부터 7호봉까지는 각각 1,728,900원, 1,781,300원, 1,834,400원, 1,887,300원, 1,940,700원, 2,046,600원입니다. 교원은 교대, 사범대, 일반대 교육학과를 졸업하면 1호봉 가산을 받아 9호봉부터 시작되며, 2023년 기본급은 2,152,400원이 됩니다. 교원은 30년 이상 근무하면 근 가호봉을 적용받게 되며, 2023년 근가호봉간 금액은 7만4300원 정도가 예상됩니다. 교원의 1년 연봉은 3천650만 원 정도가 예상되며, 월평균 실수령액은 258만 원 정도가 예상됩니다.

1.2. 국립대학 교원 등의 봉급표

위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원 등의 봉급표를 적용받지 않는 교육공무원, 국립 통일교육원ㆍ국립외교원ㆍ국방대학교ㆍ사법연수원ㆍ경찰대학ㆍ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과 그 밖의 공무원교육훈련기관의 교수ㆍ부교수ㆍ조교수 및 조교의 호봉에 따른 봉급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립대학 교원 등의 호봉표 호봉 2023년 봉급

1 2,177,600
2 2,246,000
3 2,315,100
4 2,383,500
5 2,452,600
6 2,528,200
7 2,603,500
8 2,679,300
9 2,793,000
10 2,906,600
11 3,020,500
12 3,133,700
13 3,246,700
14 3,359,800
15 3,492,400
16 3,624,900
17 3,756,900
18 3,888,800
19 4,021,400
20 4,152,700
21 4.284.400
22 4.416.100
23 4.587.800
24 4.759.100
25 4.930.400
26 5.101.400
27 5.272.400
28 5.443.400
29 5.573.600
30 5.703.800
31 5.833.900
32 5.964.000
33 6.094.200

 

학생인권조례와 교권 추락의 관계

1. 학생인권조례란 무엇인가?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인권을 보장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시·도에서 제정한 조례입니다. 학생은 교육과 관련된 모든 사안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person-information.tistory.com

2. 교사의 월급 및 실수령액

2.1. 교사가 받는 각종 수당

교사의 월급은 호봉표에 따라 산정되는 기본급에 각종 수당이 더해진 금액입니다. 각종 수당에는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18종류가 있습니다. 18가지 수당 중에서 교원의 직무여건 및 생활 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이 다른데요. 모든 교사가 공통적으로 지급받는 월 정액 급식비는 14만 원, 특수업무수당 중 교직수당은 월 25만 원입니다.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사가 담임을 맡는 경우 월 13만 원의 교직수당 가산금을, 보직을 맡은 경우 월 7만 원의 교직수당 가산금이 지급되며 또한 다음과 같이 학교급별로 교원연구비도 매월 지급됩니다.

  • 초등학교: 월 7만 원
  • 중학교: 월 8만 원
  • 고등학교: 월 9만 원

그 외에도 시간 외 근무수당, 방과후학습지도수당, 특수지역 근무수당, 특수학교근무수당, 특수학급근무수당, 특별활동지도수당, 특별활동지도수당 가산금, 정근수당, 정근수당 가산금, 가족수당 등이 있습니다. 이들 수당은 교사의 근무시간, 학교 종류, 학급 수준, 부양가족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2.2. 교사의 월급명세서 예시

아래는 2023년 기준 9호봉 초등학교 교사의 급여명세서인데요. 2023년 교원 호봉표에 따른 9호봉 본봉 2,152,400원에 정액급식비 140,000원, 교직수당 250,000원, 교직수당 가산금 130,000원, 교원연구비 70,000원 등과 시간 외 근무수당이 합해진 급여 총액은 약 2천786만 원입니다. 여기에 각종 세금 등을 공제한 실수령액은 약 2천40만 원입니다.

  • 본봉: 2,152,400원
  • 정액급식비: 140,000원
  • 교직수당: 250,000원
  • 교직수당 가산금: 130,000원
  • 교원연구비: 70,000원
  • 시간 외 근무수당: 약 44만 원
  • 급여 총액: 약 2천786만 원
  • 각종 세금 등 공제액: 약 74만 원
  • 실수령액: 약 2천40만 원

다음은 24살에 임용된 9호봉 고등학교 교사의 급여명세서인데요. 위 초등학교 교사와 기본적인 수당은 동일한데 방과후학습지도수당이 960,000원 등으로 인해 본봉과 모든 수당을 합한 급여 총액이 4,396,710원입니다. 여기에 각종 세금 등을 공제한 실수령액은 약 3천40만 원입니다.

  • 본봉: 2,152,400원
  • 정액급식비: 140,000원
  • 교직수당: 250,000원
  • 교직수당 가산금: 130,000원
  • 교원연구비: 90,000원
  • 시간 외 근무수당: 약 44만 원
  • 방과후학습지도수당: 약 960만 원
  • 급여 총액: 약 4천396만 원
  • 각종 세금 등 공제액: 약 1천35만 원
  • 실수령액: 약 3천40만 원

아래는 2023년 기준 22호봉 교사의 급여명세서인데요. 2023년 교원 호봉표에 따른 22호봉 본봉 3,306,000원에 정근수당 1,653,000원, 정근수당가산금 60,000원, 가족수당 등이 합해진 급여 총액이 5,729,000원입니다. 여기에 각종 세금 등을 공제한 실수령액은 5,017,460원입니다. 급여명세서로 추측을 해보면 10년 이상 근무한 교사로 담임과 보직을 맡고 있으며 배우자와 자녀 2명을 부양가족으로 둔 교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본봉: 3,306,000원
  • 정근수당: 1,653,000원
  • 정근수당 가산금: 60,000원
  • 가족수당: 약 70만 원
  • 급여 총액: 약 5천729만 원
  • 각종 세금 등 공제액: 약 71만 원
  • 실수령액: 약 5천17만 원
 

기간제 교사의 죽음, 서울교육청은 어떻게 대응했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간제 교사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이번 사건은 2023년 1월에 서울의 한 사립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던 기간제 교사가 부모의 언행 폭력과 과도한 업무 부담

person-information.tistory.com

3. 교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1. 교사 자격증 취득 방법

교사가 되려면 먼저 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교사 자격증은 크게 사범대학 졸업자격증과 사범대학 외의 대학 졸업자격증으로 구분됩니다. 사범대학 졸업자격증은 사범대학이나 사범대학 부속대학을 졸업하면 자동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사범대학 외의 대학 졸업자격증은 일반대학이나 대학원에서 교육학과를 전공하거나 교육학 또는 교육공학과를 부전공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대학에서 특정 학과를 전공하고 교육대학원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3.2. 교사 임용 고시 일정 및 준비 방법

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교사 임용 고시에 응시하여 합격해야 합니다. 교사 임용 고시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시행되며, 시험 과목은 학교급별로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영어, 수리능력, 사회문화적 소양 등의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으로 구성됩니다. 일부 학과는 전공능력시험도 있습니다. 교사 임용 고시의 일정은 매년 다르지만 보통 상반기는 2월에 접수를 시작하여 4월에 필기시험을 치르고, 하반기는 7월에 접수를 시작하여 9월에 필기시험을 치릅니다. 면접시험은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11월에 실시됩니다. 교사 임용 고시의 준비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교육청이나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모의고사나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전공과목은 대학교재나 전문서적을 참고하며, 면접시험은 인성과 교육관련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봉사활동이나 교육실습 등을 경험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2023년 교사 월급이 얼마나 오를지, 교원 봉급표와 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교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도 간단히 소개해 드렸습니다. 교사는 아름다운 직업이지만 쉽지 않은 직업입니다. 교사를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열심히 공부하시고,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반응형